st = [1,2,3]
st.remove(2) #remove라는 이름의 함수를 호출하는 문장
print(st)
지금까지는 [num = 15 라는 데이터(값)] 과 [def num(): 라는 기능을 하는 함수]
두 개를 분리해서 봤었다. 하지만 이 두 개를 합친 것이 있다. 바로 '객체' 이다.
파이썬에는 객체 라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라면 자판기와 커피 자판기가 있다고 하자. 기계와 버튼이 있고 버튼을 누르면 라면 또는 커피가 제조돼서 나온다.
라면 자판기에는 면,스프,물을 채워줘야하고 커피자판기에는 커피가루,설탕,프림,물을 채워줘야한다.
파이썬 관점에서 객체가 바로 자판기이다. 라면 자판기와 커피자판기라는 객체가 있는 것이다.
라면 자판기의 면과 스프등 그리고 커피자판기의 커피가루와 설탕 등의 기본재료들이 파이썬 관점에서의 데이터(값)이다.
데이터만 가지고 있어서는 무언가를 할 수는 없다. 면 따로 스프 따로 물 따로 있어도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결국은 끓여야한다. 그래야 라면이라는 결과물이 나온다. 바로 그것이 '기능(함수)'이다
자판기가 재료들을 가지고 하나의 결과를 만들듯이 객체는 데이터를 가지고 하나의 결과를 만들어낸다.
파이썬 관점에서 객체는 값도 가지고 기능도 가지는 것이다.
결국 값과 기능이 하나로 묶여있기에 의미를 가지는 것이고 그게 '객체'이다
결론적으로 파이썬의 객체 안에는 값(데이터)와 기능(함수)가 있을 것이다.
st = [1,2,3]
리스트는 데이터가 아니라 객체이다. 그냥 보면 [1,2,3]이라는 데이터(값)만 보이고 함수(기능)가 보이지않는다.
그런데 함수(기능)는 파이썬이 알아서 넣어준다.
이렇게 리스트를 만들면 실제 st라는 변수에 담기는 리스트는 안에는 1,2,3 뿐만아니라 호출가능한 다른 함수도 존재한다.
리스트는 값(데이터)만 존재하지않는다. 리스트에는 함수(기능)도 들어가서 하나의 객체를 이룬다.
st = [1,2,3]
st.remove(2)
print(st)
코드를 해석하면 st라는 변수안에 담겨있는 객체의 remove라는 함수를 호출하면서 2라는 값을 전달하라는 것이다.
이후 remove 함수에 2라는 값을 전달하면 객체안에 저장되어있는 2를 찾아서 삭제한다.
st.remove()처럼 .(점) 을 찍었다는것은 왼쪽에 있는 애가 객체라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 객체는 데이터 + 함수를 하나의 덩어리로 묶어 놓은 것이다.
'프로그래밍 언어 > 파이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bool형,if문, 논리연산자 (0) | 2023.05.22 |
---|---|
파이썬 여러가지 기능의 함수들 (0) | 2023.05.18 |
파이썬 인덱싱,슬라이싱 연산 (0) | 2023.05.18 |
파이썬 type 등등 (0) | 2023.05.18 |
파이썬 input함수, for 반복문 (0) | 2023.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