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공부하며 알아가는 걸 조금씩 정리하고 있어요
"나에게 프론트엔드라는 길이 맞을까?"라는 고민이 일년 내내 날 따라다녔던 거 같다. 가뜩이나 걱정 많은 성격을 가졌는데, 고민은 해결 안 되고, 이것저것 불안정한 상황까지 겹치니.. 그냥 눈물겨운 2024년이었다. 올해는 타인의 회고를 유독 자주 찾아보기도 했는데, 그때마다 나도 올해가 지나기전에 꼭 회고를 쓰자는 다짐을 하곤 했었다. 그런데 벌써 새해라니! 갸아악 내 시간 어디갔어   아무튼 나의 2024년을 돌아보고 2025년의 목표를 기록해보려고 한다.     나는 2024년에 뭘했을까사이드 프로젝트 '학수고대'https://studysmart.tistory.com/156 [회고] '학수고대' 프로젝트를 돌아보며🕊️학수고대 프로젝트FE 개발 기간 : 23.12.10 ~ 24.04.04서비스 기간..
이슈Rocky Liunx 8.9 기준으로 작성된 책을 보며 메일 실습을 따라 하던 중 mailx 설치가 안 되는 이슈가 발생했다. 나는 현재 Rocky Liunx 8.10 버전을 사용 중이다. dnf install mailxmailx 설치 명령어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나왔다. 책에서는 dnf install mailx로 설치하라고 나와있는데, 안되니까 심히 당황스러운 부분 https://docs.redhat.com/ko/documentation/red_hat_enterprise_linux/8/html-single/8.10_release_notes/index#in-place-upgrade-and-os-conversion 8.10 릴리스 노트 | Red Hat Product Documenta..
1. 개요이번 프로젝트에서 POST 요청을 통해 사용자의 문장을 입력받고, 해당 문장에서 명사(일반, 고유)만 추출해서 반환하는 기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명사 추출은 형태소 분석기 '바른'을 사용해서 구현했으며, 이를 반환하는 응답은 express로 구현했다. 이렇게 완성된 걸작(마스터피스)은 포스트맨으로도 잘 찍히고, 바른이 설치된 우분투 서버 내 로컬(html) to 로컬(express)에서도 잘 실행됐다. 그! 런! 데! 바른이 설치된 서버가 아닌 다른 곳에서 요청만 하면 자꾸 시간 경과가 뜨면서 실행이 안 됐다. 갸아악 그냥 죽음뿐 바른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딜레이가 원인이었는데, 우분투 서버에 바른을 설치할 때 지피티와 2인 3각 달리기를 했기에 분명 그 과정에서 어떤 ..
개요프로젝트에서 다국어를 지원하는 방법을 찾아보다가 i18next 라는 다국어 지원 라이브러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간단하게 사용하는 법을 기록하고 최종적으로 투두리스트에도 적용해 볼 예정입니다.      설치 및 실행npm install react-i18next i18nexti18next는 다국어 지원을 위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이며, react-i18next는 i18next를 리액트에서 사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npm install 명령어를 통해 설치합니다.     폴더구조는 다음과 같이 설정했습니다.    기본 세팅을 위한 i18n.js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i18n.jsimport i18n from 'i18next';import { initReactI18next }..
"Chakra UI is a simple, modular and accessible component library that gives you the building blocks you need to build your React applications.""Chakra UI는 React 응용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간단하고 모듈식이며 접근 가능한 구성 요소 라이브러리입니다."저에게 있어 '차크라'란 나루토에서 들어봤던 것..? 말고는 아는 게 없었는데, 이번 과제 중 chakra(이하 차크라) UI를 사용해 보는 요구 사항이 있었기에 사용해 보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간단한 사용법과 과제의 일부를 완성해 보는 과정을 기록해보려고 합니다.      1. 기본 세팅차크라 UI..
개요타입스크립트를 배우고 사용하면서 인터페이스와 타입 별칭이 굉장히 비슷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냥 타입 별칭으로만 사용해도 될 것 같은데, 분리해서 사용하는 모습들을 보며 문득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차이점을 찾고 정리해보는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인터페이스와 타입 별칭에 대해 아주 간단하게 작성하며 시작하겠습니다.         인터페이스와 타입 별칭    - 인터페이스란?interface Point { x: number; y: number;} function printCoord(pt: Point) { console.log("The coordinate's x value is " + pt.x); console.log("The coordinate's y ..
tteokbokki-master
용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