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e는 의미 그대로 '참'을 뜻한다. False는 의미 그대로 '거짓'을 뜻한다. True 또는 False를 입력하면 값과 데이터로 인식하고 그대로 되돌려준다 파이썬을 쓸 때 대부분 3+4 같은 질문을 하고 그에 해당하는 답변을 전달받지만, 3>10과 같이 3이 10보다 크냐?라는 식의 다른 성격의 질문도 할 수 있다. 파이썬은 사용자가 물어본 값이 참이면 True를, 거짓이면 False를 되돌려주도록 약속되어 있다. 파이썬은 True와 False를 숫자, 문자열, 실수와 같이 데이터의 일종으로 정의 내렸다. True와 False를 데이터로 정의했기에 변수에 담을 수 있다. 결론. True와 False 도 일종의 데이터(값)이다. r = 3 < 10 print(r) 3 < 10 연산의 결과인 True..
분류 전체보기
st = [2,4,3,7,4] print(min(st)) print(max(st)) min 함수 : 저장되어있는 값 중 제일 작은 값을 출력해줌 max 함수 : 저장되어있는 값 중 제일 큰 값을 출력해줌 st = [1,2,3] st.append(4) st.extend([5,6]) print(st) append와 extend 둘 다 추가하는 함수인데, append는 하나씩 추가할 때 사용하고 extend는 다른 리스트를 통째로 추가 할 때 사용한다. 위의 코드는 st라는 변수에 담겨있는 객체의 append함수를 호출하면서 4를 전달한다. 그리고 st라는 변수에 담겨있는 객체의 extend함수를 호출하면서 [5,6]을 전달한다 결론적으로 [1,2,3,4,5,6]이 출력된다. st = [1,2,4] st.in..
st = [1,2,3] st.remove(2) #remove라는 이름의 함수를 호출하는 문장 print(st) 지금까지는 [num = 15 라는 데이터(값)] 과 [def num(): 라는 기능을 하는 함수] 두 개를 분리해서 봤었다. 하지만 이 두 개를 합친 것이 있다. 바로 '객체' 이다. 파이썬에는 객체 라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라면 자판기와 커피 자판기가 있다고 하자. 기계와 버튼이 있고 버튼을 누르면 라면 또는 커피가 제조돼서 나온다. 라면 자판기에는 면,스프,물을 채워줘야하고 커피자판기에는 커피가루,설탕,프림,물을 채워줘야한다. 파이썬 관점에서 객체가 바로 자판기이다. 라면 자판기와 커피자판기라는 객체가 있는 것이다. 라면 자판기의 면과 스프등 그리고 커피자판기의 커피가루와 설탕 등의 기본..
st = [1,2,3,4,5] n1 = st[0] n2 = st[4] print(n1,n2) 하나만 콕 찝어서 계산하는 것이 인덱싱 연산이다. st라는 변수에 리스트가 담긴다 [1,2,3,4,5]에서 0번째는 1, 1번째는 2,..... 4번째는 5이다. 즉 0부터 시작이다. st[1]를 쓰면 2를 콕 찝어서 꺼내는 것이다. 위의 코드는 1와 5가 출력된다. st = [1,2,3,4,5] st[0] = 5 st[4] = 1 print(st) num =10 이라고하면 num에 10을 넣으라는 소리이다. 오른쪽의 값을 꺼내서 왼쪽에 넣는 것이다. 즉 st[0] = 5를 한다면 오른쪽의 5를 리스트의 0번 자리에 넣는 꼴이 된다. 같은 맥락으로 st[4] = 1은 오른쪽의 1을 리스트의 4번 자리에 넣는 꼴이..
int형 데이터 (정수) float형 데이터 (실수) num = 2 # 2 -> [int] -> num 순서로 저장 print(num) # num -> [int] -> 2 출력 (역순) 정수 2를 메모리에 저장하려면, 파이썬의 int라는 상자를 통과시켜서 0과 1의 조합으로 바꾼 후 저장한다. 실수 또한 마찬가지로 파이썬의 float라는 상자를 통과시켜 0과 1의 조합으로 바꾼 후 저장한다. int와 float가 따로 존재하는 이유는 0과 1의 조합으로 만들어내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num = 1.0000000003 # 1.0000000003 -> [float] (오차발생) -> num print(num) #num -> [float] (발생된 오타 삭제) -> 1.0000000003 파이썬이 1과 ..
모든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사용자로부터 무언가를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한다. 파이썬 또한 마찬가지이다 입력받는 함수는 'input' 함수이다. str = input("키미노 나마에와 : ") print(str,"님 반갑습니다") 1. input함수가 실행되면서 "키미노 나마에와 : "를 출력한다. 2.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을 기다리면서 깜빡깜빡거린다. 3. 사용자가 입력을하면 str = input("키미노 나마에와 : ")를 입력된 값이 대체한다. 즉 입력 값이 str에 들어간다. 4. print함수가 사용자가 입력한 값(str)과 "님 반갑습니다"를 합친 후 출력한다. 인풋함수는 무엇을 입력해도 문자열로 반환한다. n1 = input("아무거나 넣어봐: ") n2 = input("아무거나 넣어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