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 함수는 무엇인가를 담을 수 있는 상자이다. 그리고 상자의 이름을 가져야 한다. 즉 함수는 무언가를 담을 수 있고, 이름을 가진 '상자'이다 상자에는 코드 등을 담을 수 있다. 함수를 만드는 첫 단계는 def를 입력하는 것이다. 지금부터 무엇인가를 만들겠다는 선언이다 def 함수이름(): 함수를 만드는 기본 세팅이다 def example(): print("집가고 싶어요") print("예시입니다") print("예시예시예시") 함수를 만들겠다고 선언하면 자동으로 들여 쓰기가 되는데, 이후로 입력되는 것은 함수에 속하는 내용이라는 뜻이다. print 함수가 3번 들어간 example라는 함수를 만든 것이다. 함수에 속할 문장을 입력 후 엔터를 누르면 계속 들여쓰기가 되며, 계속해서 문장을 넣을 수..
분류 전체보기
문자열을 출력할 때 print함수와 큰 따옴표를 사용한다. 숫자열을 출력할 때도 print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공백도 문자이다. print(3+5) 3 + 5를 먼저 계산하고 이후 연산결과인 8을 출력하라고 명령하는 것이다. print("3 + 5 = ", 3 + 5) 3 + 5 연산을 먼저 한다. 이후 print함수가 문자열인 "3 + 5 = "를 먼저 출력하고, 두 번째로 3+5의 연산결과인 8을 출력한다. 명령의 대다수는 cpu가 계산한다.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것들만 계산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3+5를 계산하려면 우선 메모리에 3과 5가 있어야한다. 파이썬은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val = 30 30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val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 즉 이름을 메모리 ..
~ : 제목 : 텍스트 : p태그 안에서 사용하고 밑줄을 나타냄 : p태그 안에서 사용하고 취소선을 나타냄 : 줄바꿈 : 줄긋기 : 인용하기(블록레벨 태그, 인용 내용이 줄이 바뀌어 나타남) 인용하기(인라인 레벨 태그, 줄바꿈 없이 다른 내용과 함께 한 줄로 표시 + 인용내용에 따옴표) : 강조 : 강조 strong와 b의 차이점은, 화면 낭독기가 진짜로 강조한 것인지, 단순히 굵게 표시한것인지 판단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 이탤릭체, 흐름상 특정 부분을 강조하고 싶을 때(중요한 내용을 담을때) : 이탤릭체, 마음속의 생각이나 꿈, 기술족 용어등의 관용구에 쓸 때(단순 이탤릭체) : 사용한 부분이 노란 형광펜으로 그어놓은 듯한 효과를 낸다. : 텍스트 단락에서 줄바꿈 없이 일부 텍스트만 묶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