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제(proposition)
- 문장이 세상에 대해 말하는 것을 참/거짓으로 지정
- 자연언어에서 명제는 진술문(statement), 평서문(declarative sentence)
- 참/거짓을 따질 수 있는 진리치를 지닌다.
- 진리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 문장의 의미를 알아야 한다
- 실제 세계의 상황과 대응해봐야 한다.
진리조건(truth-condition)
- 문장(명제)의 진리치가 참이 될 수 있는 조건
- ex) "It is raining"
- true: 실제 비가 옴
- false: 실제 비가 오지 않음
- ex) "It is raining"
함의(entailment)
어떤 문장의 의미 속에 포함된 다른 의미
- ex) p: 철수가 유리창을 깨뜨렸다 / q: 유리창이 깨졌다.
- 어떤 사람이 p를 말하고 그것을 우리가 사실로 믿는다면 말을 하지 않아도 q가 사실임을 알 수 있다.
- p가 참이면 q가 참
- 함의는 예외가 없다. 내적으로 자동으로 계산
함의의 진리표
p | q | |
T | -> | T |
F | -> | T V F |
F | <- | F |
T V F | <- | T |
함의 생성
1. 어휘 의미에 의한 함의 생성
- 의미성분에 의한 함의
- ex) 총각: [+인간][+남성][+성인][+미혼]
- 총각이 T면 의미자질 전부 T
- 하의관계에 의한 함의
- ex) 하의 관계: 부인 - 여자 - 인간 - 동물
- 하의어 문장은 상의어 문장을 단계적으로 함의
- 동의어에 의한 함의
- 동의어 A, B에 대해
- A가 사용된 문장은 B가 사용된 문장을 함의
- B가 사용된 문장은 A가 사용된 문장을 함의
- 동의어는 양방향 함의
- 동의어 A, B에 대해
- 반의어에 의한 함의
- A, B가 {상보, 등급} 반의어 관계일 때, A를 단언한 문장과 B를 부정한 문장 사이에 함의 관계 성립
- ex) 실패했다/성공하지 못했다, 키가 작다/키가 크지 않다.
- p => ㄱq
2. 문장 구조에 의한 생성
- 역의 반의어에 의한 함의
- 반의어 A와 B가 역의 관계일 때
- 'X가 Y의 A이다 = Y가 X의 B이다'
- ex) 성호가 수미의 남편이다 <=> 수미가 성호의 아내이다.
- 양방향 함의 성립
- 논항 구조가 바뀌기 때문에 단어 구조가 아니라, 문장 구조에서 본다.
- 태의 변화에 의한 함의
- 능동 표현과 피동 표현 사이에는 상호 함의 관계 성립(두 문장 사이에 진리 조건을 공유(명제 1개, 문장 2개)
- ex) 폭풍이 온 마을을 휩쓸었다
- ex) 온 마을이 폭풍에 휩쓸렸다
- 양방향 함의 성립
- 능동 표현과 피동 표현 사이에는 상호 함의 관계 성립(두 문장 사이에 진리 조건을 공유(명제 1개, 문장 2개)
- 연접 구성에 의한 함의
- p^q 는 p와 q 각각 함의
- ex) 성수와 현호가 가수이다(T)
- 성수는 가수이다(T)
- 현호는 가수이다(T)
- 연접만 함의를 전제하며 OR은 전제하지 않는다.
3. 세상지식에 의한 함의 생성
- 사실적 함의: 언어내부의 논리적 관계(언어내적 요인)가 아닌, 세상지식에 의해서 생성되는 함의
- ex) 상황: 축구 전후반전 경기 시간을 각각 45분으로 정하고 있는 세계
- p: 후반전 30분이 지났다 -> q: 앞으로 남은 시간은 15분이다.
- ex) 상황: 축구 전후반전 경기 시간을 각각 45분으로 정하고 있는 세계
- 세상지식에 의한 사실적 함의
- 논리적 함의는 모든 세계에서 필연적으로 성립(의미론적 함의)
- 사실적 함의는 세상지식이 통하는 세계에서 선택적으로 성립(의미,화용 영역의 함의)
'언어학 > 의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미론] 전제(presupposition) (0) | 2025.06.07 |
---|---|
[의미론] 문장의 구조와 의미 (0) | 2025.06.07 |
[의미론] 의미 변화 (0) | 2025.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