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론] 전제(presupposition)

2025. 6. 7. 14:17·언어학/의미론

전제(presupposition)

하나의 문장이 의미적 정당성(진리치)을 갖기 위하여, 이미 참임을 보장된 다른 명제

 

  • ex) p: 영서가 창수와 결혼한 것을 후회한다.
  • ex) q: 영서가 창수와 결혼했다.
    • p는 단언으로, 참일 수도 거짓일 수도 있다. 그러나 p의 진리치를 결정하기 위해 q가 참임이 보장되어야 한다
    • p는 q를 전제(presuppose)하고, q는 p의 전제(presupposition)이다.
  • 전제하는 문장은 진리치(T or F)만 가지면 된다. 전제인 문장만 T면 된다.
  • 부정을 붙여도 전제는 유지가 된다. (취소 x)

 

전제의 진리표

p   q
T -> T
F -> T 
T V F <- T
?(T V F) <- F

전제가 거짓이라면, 전제하는 문장은 진리치를 따질 수 없다.


전제의 생성

 

전제 유발 표현(presupposition trigger)

전제를 생성하는 단어나 문장 구조

 

  • 고유명사
    • 지시하는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의 존재를 전제
      • ex) 숙희는 잊을 수 없는 나의 첫사랑이다.
      • 전제: '숙희'가 존재한다
  •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 한정 표현
    • ex) (내가 먹은) 점심은 김치찌개였다 
    • 전제: 내가 점심을 먹었다
  • 사실동사
    • 사실 동사가 상위문의 서술어일 때, 내포절은 항상 참이 된다 
    • 후회하다, 놀라다, 이상하다, 알다, 인정하다, 발견하다... 등등
      • ex) 창수는 [영호가 거짓말을 하는 것]이 이상했다.
      • 전제: 영호가 거짓말을 했다.
    • 진리치는 상위절에서 판단이 되고(T or F) 내포절은 참이 유지된다.
  • 비사실동사
    • 내포절의 전제를 보장하지 않는다.
    • 믿다, 생각하다... 등등
      • ex) 창수는 [영호가 거짓말을 한다]고 생각한다.
      • -> '영호가 거짓말을 한다'는 전제가 될 수 없음. 창수의 생각이기 때문
  • 판단동사
    • 비난하다, 고백하다, 꾸짖다, 사과하다... 등등
      • ex) 동수는 [자신이 한 말이 거짓이었다]고 고백했다.
      • 전제: 동수가 한 말이 거짓이었다.
  • 상태변화동사
    • 시작하다, 출발하다, 멈추다... 등등
      • ex) [창수가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 전제: 창수가 이전에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
  • 반복표현
    • 또, 다시 ... 등등
      • ex) 아이가 또 넘어졌다.
      • 전제: 아이가 넘어진 적이 있다.
  • 수량사
    • 모든, 컵 세 개... 등등
      • ex) 모든 생물은 죽는다
      • 전제: 생물이 존재한다
  • 분열문(cleft sentence)
    • it is ~that, ~ 것은 ~이다.
      • ex) 방금 흩날린 것은 눈송이였다.
      • 전제: 방금 무엇인가 흩날렸다.
  • 종속 접속문
    • ex) 나는 고향에 내려가서 부모님을 뵈었다.
    • 전제: 나는 고향에 내려갔다.
  • 비교표현
    • 대상이 전제가 되는 것
      • ex) 은수도 영서만큼 욕심이 많다.
      • 전제: 영서가 욕심이 많다.
  • 의문문
    • ex) 너는 어디서 이 모자를 샀느냐?
    • 전제: 너는 이 모자를 샀다.

 


화용론적 전제

 

의미론적 전제 / 논리적 전제

문장들 사이의 논리적 관계로 전제를 설명

 

화용론적 전제

주어진 맥락 속에서 발화가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정의 집합

  • 대화 참여자들의 공통된 지식 = 화용적 전제

 

발화는 공통 바탕 위에서 이뤄져야 하며, 만일 그렇지 않은 발화라면 화용론적 상식에서 벗어나게 됨

 


전제 취소(격파)

 

1. Background Context

ex) John does not regret [doing a PhD] 

  • 전제: John did a PhD
  • 존이 후회를 한 게 참이던 거짓이던 PhD를 한 사실은 변함이 없기에 전제가 보장된다.

Context: We know that John didn't get into the doctoral program

  • 그러나 위와 같은 화용적 배경지식이 들어가면 전제는 취소된다.

의미론적 전제와 화용론적 전제가 충돌하면 화용론적 전제가 이긴다.

 

 

2. Verb of Saying / Verb or propositional attitude

say, tell, ask... / believe, think, imaging, dream, want...

 

ex) John said that Mary stooped smoking

  • John의 발화이기 때문에 Mary used to smoke라는 전제는 취소가 된다.

ex) John imagined that he is the king of France

  • John의 상상이기 때문에, There is a king of France 전제는 취소가 된다.

'언어학 > 의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미론] 명제와 함의  (0) 2025.06.07
[의미론] 문장의 구조와 의미  (0) 2025.06.07
[의미론] 의미 변화  (0) 2025.06.07
'언어학/의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의미론] 명제와 함의
  • [의미론] 문장의 구조와 의미
  • [의미론] 의미 변화
tteokbokki-master
tteokbokki-master
공부하며 알아가는 걸 조금씩 정리하고 있어요
  • tteokbokki-master
    용로그
    tteokbokki-master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프로그래밍 언어
        • HTML & CSS
        • JavaScript
        • React 기초
        • 파이썬 기초
        • TanStack-Query
        • C언어 기초
        • git
        • 리눅스
        • 코딩테스트 공부
      • 개발 지식
      • 언어학
        • 의미론
      • 회고 및 기록
      • 프로젝트
        • TodoList 만들기
        • 학수고대 프로젝트
      • 기타
        • [JS-0기] 한입 FE 챌린지
        • 서평
  • 인기 글

  • 글쓰기 / 관리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tteokbokki-master
[의미론] 전제(presupposition)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